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리산둘레길 1~6구간, 주천에서 성심원까지는 아내와 딸이 함께 걸었다. 그러나 아내의 건강 문제로 오래 걷는 게 힘들어졌다. 아내가 빠지니 아이도 안 걷겠다고 버틴다. 걷기, 오르기, 그리고 견디기... 아이에게는 좀 지루하고 힘든 일임에 틀림없다. 아빠와 딸의 여행은... 앞으로 10년 뒤에나 가능하지 않을까? 한편으로는 서운하지만 다가올 미래를 위해 아이의 성장을 기다리고 내 건강을 살필 시간이다.
가족과 함께 서울둘레길을 완주했을 때의 그 기쁨과 희열을 잊을 수 없다. 항상 엄마가 앞에 서고, 어린 딸이 중간에, 내가 맨 뒤에서 걸었다. 어린 딸이 10여km를 아무 투정없이 걸었을까. 한번은 내가 아이를 업고 걸었던 일도 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길을 아이는 잘 걸었다. 힘겨웠던 시간은 지나면 영광의 기억으로 남는다. 그렇게 지리산둘레길은 자연스럽게 세워진 목표였다. 서울둘레길에 비해 멀리 있다는 점이 걸림돌이지만 이는 내가 좀더 부지런히 움직이면 극복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가족과 이루려 했던 지리산둘레길 완주의 마음은 결국 그렇게 접었다.
하지만 그렇게 접을 수는 없어서 친구들에게 제안해 보았다. 그렇게 세 친구들이 모여 지리산둘레길을 걷기 시작했다. 친구들은 7구간부터 걷는 것에 대해 아무 불만이 없었다. 그동안 내가 아내와 함께 지리산둘레길을 걸어 왔던 사실을 잘 알고 있었고, 가족끼리 가지 못한 사연도 이해해 주었다. 못다한 완주의 꿈을 다시 시작했다.

성심원 나루터의 흔적
성심원 길. 경호강을 끼고 걷는다.


9월 4일. 여느 때처럼 새벽에 나섰다. 친구들도 약속된 시간에 늦지 않게 모였다. L은 전날 늦게까지 영업한다고 술을 엄청 마셨단다. 운전하는 내내 옆자리에서 수다를 떠드니, 차 안이 술냄새로 가득해진다. 어차피 초반 운전은 내가 해기로 했고, C가 내 뒤를 이어 운전했다. 새벽 4시에 나섰지만, 도로는 분주했다. 사람들의 토요일 새벽길도 바쁘게 돌아갔다. 함양 휴게소에서 아침 식사를 하고 성심원 앞에 차를 주차했다. 친구들이 급하게 서둘렀다. 기념 사진도 찍자마자 저만치 가버린다. 황급히 쫓아가면서도 발걸음은 가볍다. 세 친구의 둘레길 여행은 이렇게 첫발을 내디뎠다.
성심원 앞에는 경호강을 건널 수 있는 나루터의 흔적이 남아있다. 1988년 제대로 된 다리가 세워지기 전까지 이 나루터를 통해 사람들은 성심원을 오갔다고 한다. 이제는 흔적만 남아 있는 나루터에는 이날 텐트가 쳐져 있었다. 누군가 거기서 하루를 묵었나 보다. 둘레길 여행객일까, 낚시꾼일까? 경호강은 은어 낚시로 유명하다. 우리가 찾아간 9월은 은어철이 아니지만, 강을 따라 가는 길에 낚시꾼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경호강을 따라 걷다 보면 다시 산으로 향한 길이 나기 시작한다. 아침재를 향해 오르는 길이다. 비교적 완만한 오르막길로 이어지고, 차량 통행이 가능한 포장도로 길이 한참 이어진다. 그러다가 만나는 첫번째 고갯길이 아침재다.

경호강을 벗어나 걷는다.
아침재. 여기서 어천마을로 가는길과 웅석봉 가는 길로 나뉜다. 
119농원 앞. 119 대원으로 일하시던 분이 만든 농원일까? 이름이 신기하다. 

아침재는 어천마을과 성심원 사이의 고갯길이다. 여기서 오른쪽길이 웅석봉으로 가는 길이다. 계곡을 만나기 전까지 편안한 산길은 계속 이어진다. 점점 더 숲으로 들어가면서 길은 좁아지고 길을 덮는 풀들도 키가 높다. 이런 산속으로 수천년 동안 사람이 마을과 마을을 잇기 위해 등짐을 지고 날랐을 것이고, 배고픈 산짐승들이 먹이를 찾아 헤매였을 거다. 시대가 변하고 세상이 변하니 사람들은 유람을 위해 산속을 거닌다. 걸으며 듣고 보고 느끼는 것들은 도시 생활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옛추억들을 되살린다. 단지 옛 생각에 젖어들기만 해서 이 산길을 찾는 걸까? 복잡한 일상과 피곤한 인간 관계를 떠나 한나절 아무 생각 없이 오감만을 되살리며 걷는 일은 참으로 소중한 일이다.

119농원을 지나서 조금만 걸어가면 작은 계곡을 하나 건넌다. 다리가 따로 없다. 물이 적을 때는 그냥 건널 수 있겠는데, 전날 비가 와서 그런지 훌쩍 뛰어 건너기는 약간 불안했다. 신발과 양말을 벗고 발을 물에 담그며 건넜다. 매미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숲속이었지만 깊은 산에서 내려온 물은 얼음장처럼 차갑다.
이 물은 웅석 계곡을 지나 어천 마을 앞을 흐르다가 경호강에 다다른다. 여기까지는 여느 지리산 둘레길과 다르지 않았다. 7코스 중의 가장 큰 난코스는 이 계곡을 넘어 시작된다.

본격적인 오르막길이 시작되기 전의 계곡
물이 상상 이상으로 차가웠다.
계곡을 건너자마자 본격적인 오르막길이 시작된다. 좁고 가파른 길이다.
크게 자란 버섯들을 많이 보았다. 당연히 함부로 손을 대지 않는다. 그래도 자태는 아름답다.


계곡을 건넌 후부터는 가파른 오르막길이 계속 이어진다. 지그재그 오르막길이 웅석봉하부헬기장(지금은 정자가 지어져 있다)까지 내내 계속된다. 둘레길이 처음인 두 친구는 이런 길이 어떻게 지리산 둘레길이냐며 혀를 내둘렀다. L은 전날 과음한 탓에 더 힘들어 했다. 땀을 비오듯 흐르는 그를 받쳐주면서 걷는 데 땀에서 술냄새가 났다. 작작 쳐먹지... 게다가 물을 그렇게 마시니 저러다 탈수증이 걸리지 않나 걱정될 정도였다. 여러 여행 후기에서도 7코스에 대해서 힘들다는 평이 많다.
지리산둘레길 5코스 중에 있던 산불감시초소도 꽤나 힘든 오르막길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하지만 여기 웅석봉 오르막길에 비교가 되지 않는다. 좁은 산비탈길을 그야말로 한뼘씩 타고 오른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지루하고 힘들다. 해발 고도로 보아도 산불감시초소는 약 600m지만 웅석봉 헬기장은 800m에 약간 못미친다. 예전에는 지리산 종주를 거의 매년 했었지만 이제 산에 올라간다면 덜컥 겁부터 먹는 나이가 됐다. 온전한 산행을 안 한지 꽤 오래됐다. 가족과 함께 둘레길 여행을 시작하면서 더 안가게 된 것이다. 그래도 마음 한켠에는 젊은 시절의 그 낭만과 열정을 마음에 품고 산에 오르고 싶다. 몸이 따라주지 않겠지만 세월의 노련함와 여유로 산을 오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일이다. 이번 웅석봉 오르막길도 그런 마음이었다. 좀더 크게 심호흡하면서 한 걸음 내디딜 때마다 신중하게, 힘들다고 땅만 보고 걷지 않고 잠시 허리 펴고 나무와 하늘도 쳐다 보고, 그렇다고 발 아래에 핀 버섯과 야생화와 풀들에도 눈길 주는 것도 잊지 않기. 2~30대의 나 역시 그랬을 테지만, 4~50대의 나도 그렇게 산을 즐길 수 있기를 바라며 걷는다.
웅석봉 하부헬기장의 정자에서 중년 부부를 만났다. 50대로 보이던 두 부부가 함께 산행을 나왔다. 웅석봉 꼭대기로 올라간다면서 지리산둘레길은 다 돌아봤는데, 정말 좋았다고 이야기해 준다. 숨을 헐떡거리며 올라온 우리 일행을 위해 지리산둘레길의 아름다움을 줄줄이 이야기해 주니 친구들이 좋은 기운을 받았다.
힘들게 올라온만큼 여기서 준비해 간 맥주와 약간의 간식거리로 배를 채웠다. 그렇게 한참을 쉬고나니 기운이 돌아왔다. 다시 나머지 길도 내쳐 나아가야 할 시간이 된 것이다. 다행히 여기서부터는 임도를 따라 완만한 내리막길이다. 말한마디 나누기 어려웠던 오르막길과 달리 내려가는 도중에는 셋이 나란히 뭉쳐서 가면서 이런저런 이야기들도 나눌 수 있었다.

웅석봉 하부 헬기장부터는 평탄한 내리막길이다.
달뜨기 능선으로 불리는 곳이다. 산 중턱에 도로가 보인다. 
큰달맞이꽃. 달뜨기 능선이 보이는 언덕에 홀로 피어 있었다. 
운리 마을 초입. 어느 가정집의 담은 작은 대숲이 펼쳐져 있다. 
단속사지 석탑. 절은 사라졌지만 석탑은 남아 있다. 다시 지어진 거겠지만...

2시 즈음 운리마을에 도착했다. L이 준비한 간편 식량은 물만 있으면 저절로 열을 내어 음식을 데울 수 있었다. 그런데 정작 L은 물을 준비하지 못했고, 우리가 준비한 물도 그가 웅석봉 오르는 길에 거진 다 마셨다. 물 부족을 겪으며 내려온 찰나에 밥을 먹으려니 물이 없네. 결국 L이 운리마을 경로당을 찾아가 물을 얻어 와 간편식으로 늦은 점심식사를 마칠 수 있었다.
9시 즈음 출발해 2시 즈음 마쳤으니 그리 오래걸린 여정은 아니다. 다만 가파른 오르막길을 걸어야 했고, 지리산둘레길 중 손꼽을만한 힘든 길을 거쳤으니 이후 둘레길은 여유롭지 않을까 기대한다.

더보기

지리산둘레길 정보

성심원 → 아침재(2.3km) → 웅석봉하부헬기장(2.5km) → 점촌마을(6.4km) → 탑동마을(1.5km) → 운리마을(0.7k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