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7. 아침 자전거 출근 10.6km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300.8km 공공성을 지키는 일 최근 재미있게 보는 드라마가 있다. 미국 방송사 NBC에서 만든 의학드라마로 뉴욕의 공공병원 '뉴암스테르담'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의 공공성을 다루는 드라마이다. 미국은 이미 최첨단 민영 의료 시스템 중심의 국가이다. 그런 미국 사회에서 공공병원의 위치는 어떠할까? 뉴욕이라는 대도시에 자리잡은 공공병원 ‘뉴암스테르담’을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재정(자본)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병원의 생존과 연결되어 있다. 그렇다면 공공병원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이사회와 병원장은 정부나 주 예산을 끌어오는 것부터 시작해서 부자들로부터 기부를 최대한 많이 받는 것이 지상과..

🚴 3.24. 아침 자전거 출근 10.2km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194.2km 개봉역 출구 쪽에는 제법 큰 면적을 차지한 자전거 주차대가 오래전부터 자리잡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 이곳은 버려지거나 고장난 자전거들의 무덤이 되어 버렸다. 여기 버려진 자전거들은 대개 안장이 사라졌거나 바퀴에 바람이 빠져있거나 잔뜩 녹이 슬어 있다. 이러다 보니 정작 사용하려는 사람은 이곳에 자전거를 주차시키기가 꺼려진다. 깨진 유리창 효과다. 결국 자전거를 타지 않는 일이 늘어나고 그런 자전거는 다시 버려진다. 이 악순환을 끊는 것이 지자체들의 오랜 숙원이었다. 개봉역 주차대도 수시로 정리 공고를 내고 경고장을 붙이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그 와중에 따릉이가 2015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했다. 따릉이 회원 수가..

🚴 3.22. 아침 자전거 출근 10.4.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184km 도라지를 다듬다가.... ------ 벌써 한해 정도 된 이야기다. 교과서 마감을 하고 힘겹게 집에 오는 길이었다. 개봉역에서 개찰구를 나와 계단을 내려와서 광장 쪽으로 나가면 그 길위에서 도라지를 다듬는 할머니가 있었다. 하루는 그 도라지를 좀 사려고 했다. "좀 싸게 해 줄 수는 없습니까?" "도라지 한 봉다리 가지고 에누리하겠소? 비싸거든 저 앞에 마트가서 사시구랴." 대단히 무뚝뚝한 노인이었다. 한마디 대꾸 후 그 할머니는 계속해서 한켠에 쌓여있는 도라지를 다듬었다. "알았습니다. 그럼 도라지 한봉지 주세요." 라고 했더니 화를 버럭 내며, "끊을만큼 끓어야 밥이 되지, 생쌀이 재촉한다고 밥이 되나?" 응? 어디선가..

따릉이를 준비하는 아침마다 등교하는 고등학생들을 본다. 남녀 아이들 삼삼오오 짝을 이루어 아침부터 수다 삼매경에 빠져있다. 이 시간이 대략 7시 30~50분 사이. 마포대교 넘어 달릴 때도 종종 보는 고등학생도 둘이 있다. 이 시각이 대략 8시20~30분 사이이다. 이들을 왜 기억하냐면 둘이 항상 같이 싸이클을 타고 등교를 하면서 차도 위에서 매우 거침없이 달리기 때문이다. 평범했다면 기억하지 못했을 텐데 헬멧을 쓰지 않은 머리 모양, 책가방을 크로스로 멘 스타일, 거기에 주중 아침 출근길에서는 보기 힘든 사이클링 자전거, 게다가 교통법규나 방어 운전 등과는 거리가 먼 운행 모습 등이 인상적이라 기억하고 있었다. 아슬아슬하게 달리는 그 아이들을 볼 때면 가슴이 쫄아드는 느낌마저 든다. 이 아이들은 바빠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언제나 그랬듯이 올해도 국어 수능 문제를 차분히 앉아서 풀어보았습니다. 매번 느끼지만, 국어 문제는 정말 오묘해요. 수능 문제 출제자들의 고민이 어디에서 시작해서 어디로 이어지는지가 눈에 보입니다. 수능 출제자들은, 교묘한 사냥꾼처럼 괜히 문장을 어렵게 꼬거나 쓸데없이 함정을 파 아이들을 괴롭히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집중력과 인내심을 가지고 문제를 집요하게 파고드는 아이들에게 궁극의 희열을 맛보게 하는 선물을 준비하는 사람들 같습니다.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 많았다며 어깨를 두들기면서 이것이 진짜 공부의 희열임을 알게 해 주고 싶어하는 것 같았어요. 지문은 예년에 비해 좀 쉬운 느낌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문을 보고 문제를 풀어가는 식의 단순한 유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또 다른 지문을 내 주고 비교분석하거나..

🚴 11.13. 아침 자전거 출근 10km 🏁 2020년 누적 주행거리 1429.9km 1. 자전거 출근을 가장 어렵게 하는 건 도로 사정도 눈비와 같은 날씨도 아닙니다. 바로 야근이죠. 야근으로 피곤하니 자전거 출근이 어렵네요. 이번주 내내 못타고 오늘 자전거 출근을 했습니다. 2. 문래동 구간 신도림을 지나면 문래동입니다. 문래동은 일제시대 때부터 공장지대를 형성하고 있고, 지금도 수많은 철공소와 관련 업체들이 허름한 건물을 중심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문래'라는 이름은 옛 이름 '모랫말'에서 음차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그 외에도 문익점이 목화를 전래한 곳이라는 뜻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방적기의 '물레'에서 왔다는 말도 있네요. 최근에는 값싼 임대료 덕분에 많은 예술가들이 터..

🚴 11.6. 아침 자전거 출근 10.1km 🏁 2020년 누적 주행거리 1419.9km 1. 이불 효과라고 하죠. 구름이 짙게 깔려 있어서인지 날이 그렇게 춥지는 않습니다. 포근함까지 말할 수 있겠네요. 2. 초등 돌봄 교실, 초등 돌봄 수업, 초등 돌봄 교사... '초등 돌봄'을 인터넷에서 치면 나오는 연관 검색어들입니다. 오늘은 돌봄 교사들이 돌봄 업무의 지자체 이관에 반대하며 1일 파업을 하는 날입니다. 폴린 토인비는 르포 작가이자 유명한 칼럼 작가입니다. 그는 넉넉한 중산층의 삶을 살면서 명성과 부를 이루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그에게 색다른 제안이 들어옵니다. 바로 저임금 노동자로 살아가는 체험을 하고 그것을 글로 써보자는 것이죠. 이를 위해 그는 빈곤층 동네의 허름한 아파트에 사는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