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다음은 교육광장에 실린 장은주 교수의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해당 글 전문을 보시려면 교육과장(78호, 2021.12.)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링크 참조)


  • 영국 언론 "The Economist"지는 매년 세계 각국의 민주주의 수준을 평가하는 '민주주의 지수(Democracy Index)' 발표한다. 작년 우리나라는 최고 등급인 '완전한 민주주의(full democracy)' 그룹에 속해 있다. 하지만 '정치 참여' 영역과 '정치 문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 한국의 갈등 지수는 OECD 30개국 중 3위로 최악 수준이다. (2016년 자료)
  • 민주주의 사회에서 사회 갈등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구가 2022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민주시민 교육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 교육현장에서 첨예한 사회 갈등 문제를 다루는 것을 터부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이럴 경우 학생들은 SNS 등을 통해 한쪽의 일방적인 내용만 습득하면서 다른 의견을 적대시하거나 일방적으로 배척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의견과 반대쪽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따져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자기와 다른 의견의 근거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따져보면서 자신의 견해도 틀릴 수 있음을 인정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민주주의 교육은 인간 개개인의 주권성과 불가침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다양성을 이해하고 차이와 이견 등에 대한 관용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 : 정치 교육의 원칙을 합의한 내용. 1) 일방적인 주입식 교화 교육 금지 2) 학문과 정치에서 일어나는 논쟁을 교육에서도 그대로 재현_논쟁성에 대한 요청 3) 학생들이 정치적 상황과 자신들의 이해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따라 정치적인 행위 능력을 기르게끔-분석능력 및 학생의 이해관계 중심
  • 토론을 통한 교육: 토론을 통해 형성된 견해나 입장은 토론의 과정에서 비로소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 견해나 입장은 일종의 협동 또는 공동작업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제기된 문제에 비추어 평가되지, 제기한 사람에 의해 평가되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