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면서 겪게되는 아픈 갈등들은 시간이 지나 원인과 결과만 남은 앙상한 기억만 남는다. 그런 기억들은 아무렇지 않게 뚝뚝 꺾어 추억의 불쏘시개로 쓰인다. 그래서 인간은 실수를 반복하고 고통은 계속되는 거다. 그 이유와 해결 과정은 모두 망각한 채 다시 반복되는 갈등의 골로 시나브로 빠져들어간다. 함정에 빠져버리면 다시 빠져나오려고 골머리를 앓지만 앙상한 기억들을 떠올려보는 일은 허튼 수작에 불과하다. 그냥 슬픈 일이다. 속상해하고 화를 낼 일이 아니다. 슬프고 슬프게 받아들일 일이다. 갈등은 결국 슬프다. 연민일 수도, 동정일 수도 있다. 씁쓸하다 못해 아리기까지 한 입맛을 느끼는 일이다. 무슨 짓을 해도 무력함에서 헤어나오기 힘들다. 이럴 때는 어쩔 수가 없는 일이다. 슬픈 일이 생긴 것이다. 그냥 슬픔..

버스 정류장 화단이 또 예쁘게 꾸며졌다. 도시에서 살면 이런 사소하지만 구석구석까지 뻗어 있는 심미적 구조물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인공적이지만 세심한 인간의 도시 문명을 접하면 경이로울 수밖에 없다. 그에 비해 시골 정류장은 어떨까? 어느 지리산 산골마을은 하루 3~5회 정도 버스가 온다. 정류장 구석에는 거미줄이 커다랗게 쳐져 있고 언제 붙였는지 모를 광고판들이 여기저기 색이 바래고 귀퉁이가 떨어져 바람에 팔랑거린다. 아무렇게나 써져있는 콜택시 번호 중에는 017도 있더라. 자연스럽게 낡아가는 인공 구조물 밖으로 조금만 눈을 돌리면 숲과 들판에서 자라는 나무와 풀들이 낡은 정류장과 묘한 조화를 이룬다. 이또한 경이롭다. 오래되어 낡음을 생생한 자연이 감싸안은 듯하다. 존재들에 이유를 분이고 엮일 것..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전거여행
- 전국일주
- 여행
- 영화
- 민주주의
- 인권
- 민서
- 교과서
- 한강
- 지리산
- 생코
- 자전거 여행
- 교육
- 국가인권위원회
- 육아
- 지리산둘레길
- 두컴
- 안양천
- 자전거출근
- 제주도
- 아기
- 자전거
- 백두대간
- 자출기
- 따릉이
- 촛불집회
- 자전거 출퇴근
- 생각코딩
- 별별이야기
- 사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