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드라마나 영화 속 빌런들은 성장하는 주인공을 자신과 동일시하려 합니다. 베트맨의 조커가 그랬고 이태원 클라쓰의 장회장도 그랬죠. 빌런은 주인공을 자신처럼 만들기 위해, 요즘말로 흑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압력, 회유와 협박을 가합니다. 주인공이 코너로 몰리고 좌절하며 절망에 몸부림칠수록 빌런은 이죽거립니다. "이거 봐. 너랑 나는 다르지 않아. 너도 나처럼 해. 그게 사는 길이야." 정의연 논란이 이런 거 같습니다. 물론 이 단체가 회계나 운영 부분에서 실수가 있었다는 걸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걸 빌미로 마치 그 뒤에 거대한 사기극이 있는 것처럼 침소봉대하는 언론들을 보면 그들이 원하는 것은 결국 도깨비의 박중헌처럼 "파국"이겠구나 싶습니다. 상대방을 자신의 이기심과 동일시하려는 조커의 악랄함..

어떤 이상적인 조직이든 조직이 굴러가기 위해서는 사람의 활동이 필요하고 그 활동에는 여러 비용이 들어갑니다. 정의기억연대 활동의 과정은 과연 후원회비의 용처만을 물고 늘어져야할 만한 사건인지 의문이 듭니다. 조국 사태 때의 그 위선자 프레임이 다시 고개를 드는 것을 보면서 보수 언론이 끊임없이 물고 늘어지는 한축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되네요. 결국 일본과의 위안부 합의를 폐기하게 이끈 단체를 흠집내고 상처내기 위한 것이죠. 그것도 후원금 출처에 대한 먼지털이식 기법으로 말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합의된 위안부 사건에 대한 해결 방법(일본 정부의 정식 사과와 배상)을 무력화시키겠다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부디 정의기억연대가 이 위기를 슬기롭게 이겨내고 한단계 더 나은 모습으로 성장해 나갈 ..
- Total
- Today
- Yesterday
- 별별이야기
- 아기
- 민주주의
- 사진
- 생코
- 인권
- 안양천
- 자전거여행
- 여행
- 따릉이
- 교육
- 영화
- 자출기
- 지리산
- 백두대간
- 제주도
- 자전거 출퇴근
- 생각코딩
- 육아
- 교과서
- 촛불집회
- 두컴
- 민서
- 자전거
- 전국일주
- 국가인권위원회
- 한강
- 자전거출근
- 자전거 여행
- 지리산둘레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