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월요일 아침. 항상 같은 시간에 출근을 하지만 왜 월요일만 사람이 그렇게 많은지... 오늘은 학생들도 별로 보이지 않았는데도 버스는 만원을 이루고 있었다. 뒷문으로 탑승해서 간신히 문을 닫았고, 조금씩 주춤거리며 몇센티미터씩 들어가는데, 발이 무언가에 걸린다. 곧이어 어떤 사람이 외친다.
"여기 휠체어 있어요. 죄송합니다. 발 조심해 주세요."
버스 뒷문 안쪽 공간은 휠체어 공간이다. 내가 탄 버스는 저상버스였고, 마침 휠체어를 탄 장애인 한 분이 탑승한 상태였다. 그런데 사람들의 발에 장애인의 발이 걸린다. 만원 버스에서 저마다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그런 사정에도 자신의 출근길 전쟁을 치르는 북새통은 어쩔 수 없다. 거기에 낀 장애인의 고통은 더하면 더했지 편할리가 없다.
평상시 개봉동을 출발한 버스는 보통 신도림에서 많은 사람을 내리고 좀 한산해지다가 여의도에서 더 많이 내려 그나마 숨통이 트이고는 했다. 그런데 이날은 어찌된 일인지 신도림에서 더 많이, 영등포와 여의도에서도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장애인의 발은 점점 위태로운 지경에 처하게 되고, 뒷문의 출입구 앞은 그야말로 아비규환, 무간지옥이 펼쳐졌다.

출처: 투데이신문



서울 서남부 지역에서 서울 북동부까지 서울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이 버스의 탑승객들은 여의도와 마포 일대에서는 주로 젊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구로와 강북, 노원에서는 나이든 분들이 많이 이용한다. 그만큼 다양한 이용객들이 이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출퇴근 시간의 배차 간격은 들쑥날쑥... 시종점에서 일정한 시간에 출발한다 해도 워낙에 긴 구간을 운행하다 보니 중간에 버스와 버스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불규칙해지면서 간혹 특정버스에서 지옥으로 가는 급행열차의 그림이 펼쳐지게 된다.

"아휴 죽겠네. 저 쇼크 오면 버스 멈춰요. 그럼 여러분도 출근 더 늦어져요."
그의 외침은 공허하다. 막 버스로 탑승하는 승객들이 그의 존재를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뒷문으로 승차를 막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심지어 버스 기사마저도 앞문에서 타려는 승객들에게 다음 버스를 탈 것을 설득하거나 억지로 타려는 승객들과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 판에 뒷문 승객들을 살펴볼 여력은 없다. 그렇게 되니 뒷문 출입구쪽은 아수라장이다. 장애인의 그만 타 달라는 외침도 공허하게 들릴 뿐이다. 버스를 타고서야 장애인의 존재를 인지할 뿐, 아무도 그에게 신경 쓰지도 신경 쓸 수도 없는 지경이다.

"지금 어디죠? 저 여의도역 가려고 하는데, 어디서 내리는 게 가까운가요? 여의도 환승센터라고요? 감사합니다. 어떻게 내리냐고요? 노래를 해야죠. 안 그러면 못내려요."

나도 밀리다 밀려서 그의 옆자리에 서게 되었고 목적지가 가까워진 그와 짧은 대화를 할 수 있었다. 드디어 여의도 환승센터에 버스가 도착했다. . 그 분이 외치기 시작한다.

"잠시 내렸다가 타 주세요. 저 내릴게요. (버스 기사에게) 기사님, 저 내릴게요."
뒷문에 서 있던 사람들이 길을 열어 주었다. 잠시 기다려 보지만 버스 휠체어 승하차용 발판이 내려오지 않자, 다시 그 분은 다시 바깥에 있는 어떤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저기 선생님, 힘좀 쓰실 수 있으면 제 휠체어 좀 잡아 주시겠어요? 아니 그렇게 잡으시면 허리 나가요. 여기 잡아 주세요."
이때, 승하차용 발판이 작동하기 시작했다. 다행히 그는 무사히 하차할 수 있었다. 그는 9호선을 타는게 목적이었던거 같은데, 9호선 전철은 무사히 탔을까? 9호선도 출퇴근 시간에 지옥도가 펼쳐진다는데...

그의 말대로 그는 새벽부터 나섰어야 했을까? 모르겠다. 비교적 시간을 칼 같이 사용하는 현대인의 삶에서 굳이 장애인에게만 추가적인 시간을 요구하는 건 옳지 않다. 물론 휠체어로 이동하는 일이 다른 이동에 비해 시간이 더 걸리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혼잡한 버스에서 그가 겪어야 할 그 고통은 여러가지 생각해 볼 거리를 던져준다.

왜 이 버스는 이 시간에 사람들이 이렇게 많을까?
혼잡한 버스에서 장애인을 위한 배려는 어떻게 가능할까?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으로 더 좋은 방법은 없을까?


휠체어 장애인도 같은 인간이라는 점에서 더 편해져야 할 이유도 없고 더 고통받아야 할 이유도 없다. 다만 그의 고통이 우리와 다르다는 것, 어쩌면 더 고통스러울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필요하다. 그도 힘들겠지만 출퇴근 시간 대라 할지라도 필요하면 기꺼이 버스에 탑승하는 일을 멈추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도 그도 더 나은 방법이 나오기 전까지는 서로 같이 익숙해져야 할테니 말이다.


2021. 11.1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