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 덕분인지 어느 때보다 청명한 하늘. 자전거 주행거리 총 500km 찍은 날. 지난해 이맘때는 800km를 넘겼지만 올해는 목표없이 흘러가는대로 사는 걸로... 바퀴가 굴러가고 싶은 만큼 가는 거지. 욕심없이 사는 건지 안일하게 사는 건지 종잡을 수 없다. 사십을 지나 곧 오십이 가까운데 유혹에 강해진것 같지는 않고 무언가에 혹했던 적은 있었나? 욕심을 내고 쟁취하려 달려든 적은 있었나? 어찌보면 참 제멋에 취해 편하게 살았다. 이제와 사람이 바뀌겠나. 그럼에도 환경과 상황이 바뀌니 사람을 다른 자리로 몰아갈까 두렵다.

🚴 아침 자전거 출근 10.3km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311.7km 나와 그대들의 20대를 위하여 돌아보면 나의 20대는 저항과 도전의 시기였다. 대학 생활을 시작하면서 저물어가는 운동권의 마지막 세대로서 그 화려한 불꽃의 정점(전대협의 끝과 한총련의 시작)을 달렸던 시대다. 93년 한총련 출범식에는 전국의 대학생 10만명이 고려대에 모여 청년의 위상과 책임을 실감하며 민족과 시대의 요구를 생각해 보았고 96년 연대 사태에서 저물어가는 운동권의 마지막 숨을 지켜보기도 했다. 돌아보면 20대라는 시기는 시대와 불화하는 나이이다. 앞세대의 허점과 위선을 적나라하게 비판하고 보다 나은 세상에 대한 뚜렷한 전망과 의지를 가진 사람들이었다. 나름 내가 살았던 20대는 그럴만한 집단적 힘이 구체적으로 발화..

🚴 4.7. 아침 자전거 출근 10.6km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300.8km 공공성을 지키는 일 최근 재미있게 보는 드라마가 있다. 미국 방송사 NBC에서 만든 의학드라마로 뉴욕의 공공병원 '뉴암스테르담'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의 공공성을 다루는 드라마이다. 미국은 이미 최첨단 민영 의료 시스템 중심의 국가이다. 그런 미국 사회에서 공공병원의 위치는 어떠할까? 뉴욕이라는 대도시에 자리잡은 공공병원 ‘뉴암스테르담’을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재정(자본)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병원의 생존과 연결되어 있다. 그렇다면 공공병원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이사회와 병원장은 정부나 주 예산을 끌어오는 것부터 시작해서 부자들로부터 기부를 최대한 많이 받는 것이 지상과..

🚴 3.24. 아침 자전거 출근 10.2km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194.2km 개봉역 출구 쪽에는 제법 큰 면적을 차지한 자전거 주차대가 오래전부터 자리잡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 이곳은 버려지거나 고장난 자전거들의 무덤이 되어 버렸다. 여기 버려진 자전거들은 대개 안장이 사라졌거나 바퀴에 바람이 빠져있거나 잔뜩 녹이 슬어 있다. 이러다 보니 정작 사용하려는 사람은 이곳에 자전거를 주차시키기가 꺼려진다. 깨진 유리창 효과다. 결국 자전거를 타지 않는 일이 늘어나고 그런 자전거는 다시 버려진다. 이 악순환을 끊는 것이 지자체들의 오랜 숙원이었다. 개봉역 주차대도 수시로 정리 공고를 내고 경고장을 붙이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그 와중에 따릉이가 2015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했다. 따릉이 회원 수가..

🚴 3.22. 아침 자전거 출근 10.4.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184km 도라지를 다듬다가.... ------ 벌써 한해 정도 된 이야기다. 교과서 마감을 하고 힘겹게 집에 오는 길이었다. 개봉역에서 개찰구를 나와 계단을 내려와서 광장 쪽으로 나가면 그 길위에서 도라지를 다듬는 할머니가 있었다. 하루는 그 도라지를 좀 사려고 했다. "좀 싸게 해 줄 수는 없습니까?" "도라지 한 봉다리 가지고 에누리하겠소? 비싸거든 저 앞에 마트가서 사시구랴." 대단히 무뚝뚝한 노인이었다. 한마디 대꾸 후 그 할머니는 계속해서 한켠에 쌓여있는 도라지를 다듬었다. "알았습니다. 그럼 도라지 한봉지 주세요." 라고 했더니 화를 버럭 내며, "끊을만큼 끓어야 밥이 되지, 생쌀이 재촉한다고 밥이 되나?" 응? 어디선가..

🚴 3.12. 아침 따릉이 출근 10.5km 🏁 2021년 누적 주행거리 114.4km 마포대교 초입(마포 방향)에 얼마전부터 잡동사니 짐이 가득 실린 리어카가 세워져 있다. 정체를 알 수는 없지만 이런 리어카를 보면 폐지를 잔뜩 싣고 가는 노인의 모습이 그려진다. 노인은 어디가고 리어카만 남아 있을까? ------ 그는 여의도에 새로 생긴 거대한 쇼핑센터 근처에서 홀로 폐지를 줍고 있었다. 노인은 아내도 없고 얼마전에는 소년도 다 컸다며 집을 나가버려 혼자다. 매번 별볼일 없는 폐지 수확으로 하루 한끼만 겨우 떼우던 노인은 큰맘먹고 새로 문을 열었다는 이곳 여의도 쇼핑센터까지 찾아오게 되었다. 요근래 새벽부터 나왔지만 번번히 다른 이들에게 선수를 빼앗겼던 터라 이번에는 쇼핑센터가 문을 닫는 시간에 맞추..

따릉이를 준비하는 아침마다 등교하는 고등학생들을 본다. 남녀 아이들 삼삼오오 짝을 이루어 아침부터 수다 삼매경에 빠져있다. 이 시간이 대략 7시 30~50분 사이. 마포대교 넘어 달릴 때도 종종 보는 고등학생도 둘이 있다. 이 시각이 대략 8시20~30분 사이이다. 이들을 왜 기억하냐면 둘이 항상 같이 싸이클을 타고 등교를 하면서 차도 위에서 매우 거침없이 달리기 때문이다. 평범했다면 기억하지 못했을 텐데 헬멧을 쓰지 않은 머리 모양, 책가방을 크로스로 멘 스타일, 거기에 주중 아침 출근길에서는 보기 힘든 사이클링 자전거, 게다가 교통법규나 방어 운전 등과는 거리가 먼 운행 모습 등이 인상적이라 기억하고 있었다. 아슬아슬하게 달리는 그 아이들을 볼 때면 가슴이 쫄아드는 느낌마저 든다. 이 아이들은 바빠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생코
- 아기
- 교육
- 지리산
- 촛불집회
- 민주주의
- 따릉이
- 자전거여행
- 여행
- 민서
- 전국일주
- 안양천
- 두컴
- 자전거
- 백두대간
- 별별이야기
- 자출기
- 사진
- 인권
- 한강
- 자전거 출퇴근
- 제주도
- 육아
- 생각코딩
- 지리산둘레길
- 교과서
- 자전거 여행
- 영화
- 자전거출근
- 국가인권위원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