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숲으로 간 구상나무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숲으로 간 구상나무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09)
    • 구상나무 아래에서 (556)
      • 일상의 발견 (250)
      • 밥과 꿈과 사람 (79)
      • 하늘을 여는 아이 (54)
      • My On-Line Story (131)
      • 교과서 스크랩 (3)
      • 편집 일기 (4)
    • 생활 여행자 (174)
      • 지리산둘레길 (9)
      • 하늘을 달리는 자전거 (73)
      • 걷고 또 걷고2017 (6)
      • 백두대간 이야기 (22)
      • 발길이 머문 곳 (39)
      • 바글보글지글 (11)
      • 일본오사카2007 (6)
      • 푸켓다이어리2007 (4)
    • 사막에 뜨는 별 (76)
      • 개봉극장 (26)
      • 서가에 피는 꽃 (45)
      • 동물원 옆 미술관 (5)
    • 말하지 않고 말하기 (0)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809)
50여일 동안 달린 거리 약 400km

'2010 프로젝트 : 3000km 달리자'를 시작한지 이제 두 달이 다 되어 간다. 처음에는 자전거로 부지런히 출퇴근 한다면 3000km도 가능하리라 예상했지만, 이상 저온 현상으로 3월 중순에도 눈이 왔고, 연일 영하에 가까운 한파가 아침 기온을 장식하고 있어 자전거 출퇴근이 어려웠다. 4월이 되어도 날씨는 예년 날씨로 돌아오지 않았고, 게다가 거대한 황사 먼지가 며칠간 서울에 머물렀던 적도 있으며, 비도 여러번 내려서 자전거 출퇴근 횟수는 손으로 꼽을 정도로 적다. 이러다 보니 2월 22일부터 본격적인 기록을 시작한 이래, 자전거 출퇴근 횟수는 총 15회에 불과, 달린 거리는 고작 389km, 3000km까지 남은 거리는 2611km나 된다. 하루 24km를 달린다고 했을 때, 108일을 자전거 출..

생활 여행자/하늘을 달리는 자전거 2010. 4. 16. 19:02
민서는 지금 구례에 있어요

새벽 4시부터 일어나 놀아달라고 떼쓴 민서를 벌주기 위해서 바지 속에 팔을 넣어봤습니다. 녀석은 가만히 있더군요. 벌써 자기의 잘못을 깊이 알고 반성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아빠, 잘못했어요. 다신 안 그럴게요." 여러분이 보기에도 그렇지 않나요? 암튼 저렇게 만들어 놓고 전 자전거 타고 출근했습니다. 아마 민서 엄마가 제가 나가자마자 풀어주었을 겁니다. 윗집에서 쿵쿵대는 소리며, 옆의 계단으로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소리가 그대로 전달되는 다세대 집구조이다 보니, 민서는 작은 울림에도 깜짝깜짝 잘 놀라는 듯합니다. 아이를 보면서 새삼 도시의 소음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37년을 살아오면서 이제 이 도시의 시끄러움에 많이 익숙해졌나봐요. 그러나 아이는 그렇지 않았죠. 결국 엄마 아빠가 잘 때는 조용..

구상나무 아래에서/하늘을 여는 아이 2010. 4. 14. 19:23
다음 view 포토 동영상에 뜬 민서

민서가 일을 저지르고 말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안녕, 저 민서에요"가 그만 다음 view의 포토·동영상 베스트에 뜨면서 육아 베스트에도 올라 하루만에 제 블로그에 1600명이상 방문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거죠. 민사의 인사 한번으로 이렇게 블로그가 대박이 났으니 앞으로 민서가 말하고 걷고 학교 다니면 아마 수만명이 다녀가지 않겠냐는 말도 안되는 상상도 해봅니다. ㅎㅎ 그래도 민서가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아니, 어쩌면 아이가, 어린이가 보호받고 존중받는 사회가 되어야 하는 거겠죠. 저 먼저 우리 아이만 볼 게 아니라 다른 아이를 보호하고 존중하는 어른이 되어야겠습니다.

구상나무 아래에서/하늘을 여는 아이 2010. 4. 3. 16:59
안녕! 저 민서에요^^

사실 사진의 모습은 막 잠들고 있는 민서의 모습입니다. 꼼지락거리던 중 오른손을 쫙 편 모습이 아내의 사진기에 순간포착으로 잡힌 거죠. 눈도 살포시 감긴듯 뜬듯하고 입꼬리도 샐쭉한게 살짝 웃는 듯합니다. 밤에 잠투정이 좀 심한 거 말고는 아주 건강하게 잘 크고 있습니다.

구상나무 아래에서/하늘을 여는 아이 2010. 4. 2. 00:30
젊은 사상가의 감옥 생활_감옥에서 보낸 편지(안토니오 그람시)

오랜만에 편지를 썼다. 받는 이는 장모님이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편지라는 걸 마지막으로 썼던 게 언제였는지 생각이 나지 않는다. 이번에 쓴 편지에는 장모님의 건강을 기원하면서 민서를 포함한 우리 가족의 소소한 일상을 재미있게 담아보았다. 아내의 말에 의하면 장모님은 편지를 받고 무척 기뻐하셨다고 한다. 편지를 다 보자마자 아내에게 전화를 해서 각별한 말씀을 전하셨다. …………………… 편지라는 것은 형식상 누군가에게 일방적으로 자기 이야기를 담아 보내는 공간이다. 하지만 글을 쓰는 시간부터 답장이 오는 시간까지 그 시간이 길다. 자연히 소통의 시간이 길어지고, 사색의 여백은 넓어지기 마련이다. 이런 특징으로 편지는 독특한 문학 장르로 분류된다. 다양한 서간문이 교과서에 등장하는 이유다. 안토니오 그람시의..

사막에 뜨는 별/서가에 피는 꽃 2010. 3. 30. 21:00
[산행계획]백두대간 5구간 종주 : 빼재-덕산재-부항령

여차저차 하다 보니 4월 3일(토)로 일정을 잡았다. 올 초에 다시 백두대간 길을 걷겠다고 스스로 다짐하면서 가급적 한달에 한번씩 가겠다고 마음 먹었지만, 가정사며 회사일이 그렇게 뜻대로 돌아가지는 않았다. 내가 양보하고 맞추어야 할 일이 많다. 그만큼 나는 아주 작은 존재다. 하지만 나 하나쯤 빠진다고 일을 허투로 하거나 게을리 해서도 안된다. 그만큼 나는 중요한 존재라고 위안한다. 또, 백두대간 종주는 내 생의 목표이다. 2년이 걸리든 3년이 걸리든 남한내 백두대간 길을 천천히 밟아나갈 것이다. 생이 이어지고 남북이 연결된다면 백두산까지 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품으며서 걷는 길이다. 이번 구간은 큰 산이 품은 길도 아니고 멋드러진 풍경이 있는 곳도 아니다. 찾아오는 이들은 나처럼 대간꾼들이..

생활 여행자/백두대간 이야기 2010. 3. 29. 19:08
결혼은 시련의 과정 - 결혼을 앞둔 후배에게

결혼은 희생을 강요한다. 아니, 희생 없이 결혼 생활은 불가능하다. 그런데 가끔 우리는 그 희생의 대상이 상대방이라고 착각한다. 여기서 필요한 자각은 그 희생은 상대방을 위함이 아닌 결혼 생활을 지키기 위함이다. 자신의 희생이 상대방으로 향한다는 가정은 결국 그 희생에 대해 유세를 떨거나 반대로 피해 의식에 사로잡혀 서로의 관계에 상처를 내는 쪽으로 흐르기 마련이다. 그것은 희생이라기 보다 위선에 가깝다. 그러기 때문에 상대방을 위해 희생한다고 생각할 때부터 결혼은 이미 파국을 향해 치닫는다. 진정한 자기희생은 숭고한 결과를 만들어내지만, 위선은 비극으로 내달린다. 결혼 생활은 서로에 대한 자리매김이다. 평생을 두고 진행되는 이 자리매김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위기(혹은 기회)의 성격과 내용이 다른만큼..

구상나무 아래에서/일상의 발견 2010. 3. 22. 20:13
봄눈, 의심하다

토요일에는 황사로 창밖이 노랗더니 오늘은 또 아이 주먹만한 눈송이들로 창밖이 하얗다. 3월 말에 봄비도 아니고 봄눈이다. 그런데 봄과 눈이 어울리는 조합일까. 실상 오늘 내리는 눈만 보아도 봄을 소리내어 비웃듯이 쏟아졌다. 대설주의보. 3월말의 대설주의보는 봄에 대한 불신을 나았다. 사람들은 봄을 의심했고, 3월을 의심했다. 눈에 보이는 눈이 눈에 보이지 않는 3월을 이긴 것이다. 어차피 시간이라는 것은 사람이 만든 개념이다. 3월에 눈이 오는 것이 이해되지 않을 수 있지만, 지구 기후의 과학적 엄밀성은 '3월'이나 '봄'이라는 인간이 만든 개념과는 하등의 관계가 없다. 여기서 나는 그동안 쌓아온 3월, 봄의 개념을 다시 의심해 본다. 흔들릴 수 없는 긍정을 부정해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3월의 눈은..

구상나무 아래에서/일상의 발견 2010. 3. 22. 18:35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10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이웃집, 노을이네
  • 원미동 통신
  • 노란몽(Old Egg's Dream)
  • 같은 풍경 다른 생각
  • 지리산외계인
TAG
  • 자전거 여행
  • 자전거 출퇴근
  • 전국일주
  • 별별이야기
  • 촛불집회
  • 안양천
  • 민서
  • 영화
  • 자전거여행
  • 제주도
  • 여행
  • 아기
  • 국가인권위원회
  • 교육
  • 따릉이
  • 육아
  • 자전거출근
  • 한강
  • 사진
  • 인권
  • 두컴
  • 지리산둘레길
  • 자출기
  • 백두대간
  • 생각코딩
  • 교과서
  • 민주주의
  • 자전거
  • 생코
  • 지리산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